제로베이스 OT
제로베이스
개요
- 
    취업 연계를 위해 스노우볼(전 패스트캠퍼스)에서 교육을 진행하기로 했다. 
- 
    매일 교육 내용을 별도로 정리하는것을 목표로 진행한다. 
OT
- 
    첫날은 오리엔테이션으로 진행되었기에, 간략한 강사 소개와 추후 수업에 대한 내용이 주로 이어졌다. 
- 
    총 6개월 과정 진행됨(03.02 ~ 09.02) 
- 
    강의 영상을 자율적으로 시청 후, 테스트 진행하는 방식으로 진행. 
- 주요 수업 활동
    - 
        영상강의 : 주요 데이터 사이언스 기술에 대한 영상 강의 
- 
        라이브 세션 : 프로젝트 발표, 과제/프로젝트 피드백, 실무자 특강 등 
- 
        그룹 스터디 : 4~8주 간격으로 조 편성하여 예/복습 및 조별 과제 - 러버덕 : 아무것도 모르는 고무오리에게 설명해준다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방식으로 진행
 
- 
        시험 : 퀴즈, 위클리 테스트, 파이널 테스트 
- 
        모의 코딩테스트 : 자료구조/알고리즘 파트 종료 후 매월 1회 이상 진행 
- 
        프로젝트 : 주요 과목별(EDA, 머신러닝, 딥러닝) 프로젝트 
- 
        신문스크랩, 블로그 : 산업현황 파악 및 학습 기록 
 
- 
        
- 강조하는 생활 신조
    - 목표 : 취업만 생각하며, 수료 후 다른 삶을 살게 될 나의 모습에만 집중한다.
- 태도 :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.
- 협동 : 회사는 스타 플레이어가 아닌 팀 플레이어를 필요로 한다.
- 좋은 학습자 : 스스로 고민해보고, 찾고, 공유한다.
 
Slack
채널
- 
    카카오톡 / 디스코드처럼 채팅 채널이 나뉘어있음. 
- 
    @아이디형식으로 태그를 걸어 해당 멤버를 호출할수 있음.
스레드
- 
    ‘실타래’를 의미하는 thread가 어원. 
- 
    2ch등의 커뮤니티에서 사용되는 글 하나에 답글로 이어가는 형식의 글뭉치. 
- 
    채팅방 자체에 올리게 될 경우 많은 사용자로 인해 채팅방의 내용이 너저분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, 스레드 기능을 통해 정리한다. 
- 
    메시지에 마우스를 올리고 ‘스레드의 댓글’을 클릭하는것으로 스레드 생성이 가능 
그룹 생성
- 
    디스코드의 단체 채팅방을 생각하면 편할듯. 
- 
    특정 인원들을 초대하여 해당 인원들만으로 구성된 채팅방을 생성 가능. 
기술 블로그
근거의 종류
- 
    본인이 직접 연구하고 확인하여 정리된 글은 1차 근거. 
- 
    어디서 된다고 하는 글을 가져오는것은 2차 근거. 
기술블로그 작성시 주의점.
- 기술 블로그를 사용시 1차 근거를 기반으로 작성할것을 권고함.
기술 블로그 작성 가이드라인
- 본인의 블로그에 업로드 마감일까지 글 업로드하기
- 내용은 지금까지의 수업 내용 중 가장 흥미로웠던 주제 선정
- 단순히 필기식으로 적는 TIL보다는 조금 더 깊이있는 탐구를 해주세요!
- 해시태그는 #제로베이스,#제로베이스 데이터사이언스 스쿨2가지를 기본적으로 기입해주시고, 그 외 다른 사람들이 여러분의 블로그를 찾기 용이한 해시태그를 기입해주세요.
